P e d a g o g i e n s
최근 공개된 용어 (총 10개)
선행조직자
조회수: 112오수벨의 선행조직자는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기 전에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새롭게 배우게 될 내용을 연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식 구조를 말합니다. 이는 학습자에게 친숙한 개념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고 기존 지식에 통합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도구입니다. 선행조직자는 보통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: 1. 설명 조직자: 학생이 전혀 새로운 개념을 배우기 전에 이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일반적인 개념이나 정보를 제공합니다. 2. 비교 조직자: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주제와 새로운 정보를 비교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이를 통해 학습자는 새로운 정보를 보다 의미 있게 받아들이고, 기존 지식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면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. 오수벨은 이런 방식을 통해 학습이 더욱 효과적이고 지속적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!
컴퓨터 능력적응검사(CAT)
조회수: 127컴퓨터 능력적응검사(Computative Adaptive Testing, CAT)는 각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형태의 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짧은 시간 안에 적은 수의 문항으로도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법이다. CAT의 특징으로는 지필검사나 컴퓨터 이용검사(CBT)처럼 모든 피험자에게 동일문항이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, 먼저 제시된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문항이 문제은행으로부터 제시된다. CAT의 구성요소 - 문제은행 - 문항반응모형 선택 - 전번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른 다음 문항 제시 규칙(검사알고리즘) - 채점방법 - 검사종료의 기준 CAT의 장점으로는 피험자의 정확한 능력측정이 가능하고 피험자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. 또한 적은 수의 문항으로 빠르게 능력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. CAT의 단점으로는 평가의 검토 및 수정이 어렵고 피험자에게 부담과 스트레스를 주며,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검사 종료 기준을 정하기 어렵다.
반두라
조회수: 118반두라(Albert Bandura)는 심리학자이며 사회 학습 이론(Social Learning Theory)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. 그의 이론은 사람들이 관찰과 모방을 통해 학습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. 몇 가지 주요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: 1. 관찰 학습 (Observational Learning):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여 새로운 행동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직접적인 경험 없이도 학습이 가능함을 의미합니다. 2. 모델링 (Modeling): 학습자는 주로 부모, 친구, 교사 등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보고 따라서 행동합니다. 긍정적인 모델은 바람직한 행동을, 부정적인 모델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. 3. 자기효능감 (Self-efficacy): 이는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의미합니다. 높은 자기효능감은 학습과 과제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 반두라의 이론은 교육 및 행동 수정 프로그램뿐 아니라 광고와 미디어가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도 큰 기여를 했습니다.
백워드설계
조회수: 105백워드 설계(Backward Design)는 교육과정 개발의 한 접근 방식으로, 교육 목표를 먼저 설정한 다음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평가 방법과 학습 활동을 차례로 설계하는 방법입니다. 1. 목표 설정 (Desired Results): 먼저 어떤 지식이나 기술을 학생들이 학습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합니다. 2. 평가 계획 (Evidence): 목표를 달성했음을 보여줄 수 있는 증거가 무엇인지, 학생들이 목표를 어떻게 충족할지를 평가할 방법을 결정합니다. 3. 학습 경험과 수업 계획 (Learning Plan): 최종 목표와 평가 방법에 맞춰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 수업과 활동을 설계합니다. 이러한 방식은 수업 목표가 명확하게 설정되므로, 학습자가 수업의 핵심 결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도움이 더 필요하시면 구체적인 질문을 해 주세요!
자기효능감
조회수: 112자기효능감(self-efficacy)은 개인이 특정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의미합니다. 이 개념은 개인의 동기, 목표 설정, 도전 과제에 대한 자세 등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칩니다. 자기효능감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한 가장 유명한 학자는 앨버트 반두라(Albert Bandura)입니다. 반두라는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지 설명하며, 이를 통해 성공적인 학습과 성취를 이루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반두라의 이론에 따르면,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경험, 사회적 모델링, 사회적 설득, 그리고 심리적 상태에 의해 형성됩니다. // 위키피디아(2025년 4월 21일) ㅋㅋㅋㅋ
선행조직자
조회수: 153선행조직자는 수업에서 학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수업 초반에 제공하는 단서나 구조를 말합니다. 학생의 인지구조를 강화하고, 새로운 학습 과제를 흡수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. 선행조직자의 역할 학생의 이해를 돕고 인지구조를 강화합니다 새로운 학습 과제를 흡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기존의 지식과는 전혀 관계없는 새로운 학습 과제를 설명할 때 개념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선행조직자 관련 용어 설명 조직자(expository organizer)는 기존의 지식과는 전혀 관계없는 새로운 학습 과제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조직자입니다 관련 정착 지식(relevant anchoring idea)은 논리적 유의미가 있는 과제를 인지구조에 있는 관련 지식과 관계를 맺을 때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데 도움을 주는 지식입니다 선행조직자의 제안 선행조직자는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교육사상가인 데이비드 오스벨이 유의미수용학습(meaningful reception learning)을 촉진시키기 위해 제안한 장치입니다.